서울 지하철 1회용 승차권 

발매 및 보증금 환급 방법


와 내가 이거 이용해보게 될 줄은 몰랐는데

어제 일이 있어 사무실에서 출발해서

지하철역까지 도착을 해서 교통카드를

찍으려고 보니 어라?

교통카드가 없는게 아닌가... 

아니다... 심지어 지갑이 통으로 없었다.. 

제길...


결국 다시 사무실로 올라가서 돈을 빌려서

다시 지하철역으로... 아우~ ㅋㅋㅋㅋㅋ



기본적으로 이용할 때 현금을 준비해주시고

1회용 승차권 발매를 시작한다. 


기계는 저렇게 생겼다.

1회용 카드 발매와 교통카드 충전이 가능하다.



신분증은 우대용 교통카드 발매에 필요하다.

1회용 발매 교통카드 충전하는 곳에서 

카드가 나온다.



교통카드 충전시에 카드를 

올려 놓는 곳이기도 하다. 



교통카드 충전하는 방법

충전하는 곳에 카드를 올린다.

충전 금액을 선택하고 확인을 누른다.

해당 금액을 투입하고 확인을 누른다.

교통카드와 거스름돈을 챙긴다.



1회용 교통카드 발매를 시작해보자.

기본운임 구간일 경우는 기본운임 전용으로

멀리가는 경우는 목적지를 선택한다.


우대용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우대용 클릭!

교통카드 충전시에는 교통카드 충전 클릭!



나는 1회용을 이용하는데 가까워서

기본운임 전용으로 구매를 한다. 

원하는 매수를 선택한다.



기본 운임은 1,350원

제길 교통카드 쓰는거보다 비싸다...


기본 운임 요금에 보증금 500원을 받는다.

보증금은 카드 보증금으로 환불을 받을 수 있다.



합계 금액 보다 큰 금액을 투입해주면

카드가 발급된다. 



이때, 5만원권은 이용이 불가능하다.

5만원권은 교통카드 충전이나 

만원 이상시에만 가능한듯!


찍어오려고 했는데 너무 순식간이었다.. ㅋ 

5만원권은 만원짜리로 바꿔서 이용하면 된다.



요렇게 1회용 교통카드를 발급 받았다.

전철과 지하철 전용이다. 


버스로 환승이 불가능하다. 

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사용한 뒤에

보증금 환급기를 통해 돌려받으면 된다. 



1회용 교통카드는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45일 이내에 한해 반환이 가능하다. 


재충전이 불가능하니 사용후에는 환급을 받는다.

파손시 보증금은 환급되지 않는다. 



사용후에는 이렇게 개찰구 옆에 있는

보증금 반환기를 이용한다.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그냥 카드를 넣고 기다리면

보증금 500원이 땡그랑 하고 떨어진다.


동전이 나오기까지 텀이 조금 있으니

그냥 기다리면 된다.

카드만 먹고 돌려주지 않는게 않으니 

참고 기다리면 된다. 


그런데 이거 뭐 귀찮기도 하고

일단 교통카드 쓰는 것 보다 비싸니

되도록이면 교통카드를 들고 다니는게 좋다!


끝!!


+ Recent posts